반응형
기준 중위소득은 정부 지원사업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 미리 알아두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▶ 기준 중위소득이란?
대한민국 모든 가구의 소득을 적은 순서부터 많은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, 한가운데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. 이는 국민기초생활보장 등 정부 지원사업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
기준 중위소득 = 소득의 중간값
쉽게 말해, 모든 가구의 소득을 적은 순서부터 많은 순서까지 정렬했을 때, 한가운데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.
▶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
예를 들어, 100가구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50번째 가구의 소득이 200만 원이라면, 이 금액이 해당 연도의 기준 중위소득이 됩니다. 이 금액을 기준으로 100%, 50%, 40% 등으로 나누어 복지 지원 기준을 결정합니다.
기준 중위소득 50% 차상위, 교육급여 수급자가 여기에 해당합니다.
그럼 기준 중위소득 50%에 해당하려면 월 소득이 얼마가 되어야 할까요?
200만원에서 반토막인 100만원 이하의 소득에 해당되어야 50% 기준에 들어가게 되는 것입니다.
👉 실제로 적용해볼게요.
2024년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약 207만 원입니다. 따라서 50%는 약 103만 원, 40%는 약 83만 원이 됩니다.
표1. 기준 중위소득별 지원 기준 (1인 가구 기준)
100% | 약 207만 원 | - |
50% | 약 103만 원 | 차상위계층, 교육급여 |
40% | 약 83만 원 | 의료급여 수급자 |
▶ 기준 중위소득 세전, 세후
기준 중위소득은 세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.
▶ 기준 중위소득 확인 방법
- 건강보험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통계청이 공표하는 통계자료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
'복지 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공유(시설)서비스 (시설대관 무료법률상담 물품대여 강좌체험) 소개 (0) | 2025.02.21 |
---|---|
우체국 무료 태아보험 필요한지 추천 가입 시기 알아보기 (0) | 2025.02.20 |
복지란? 복지의 의미는? (0) | 2025.02.19 |
실업급여 조건 금액 기간 신청 방법 (1) | 2025.02.18 |
(근로자) 근로복지넷 EAP 심리 및 다양한 상담 서비스 지원 (2) | 2025.02.17 |